분석적 심리치료는 내담자로 하여금 무의식을 의식화함으로써 분열된 마음을 통합하고 정체성을 회복하여 자기를 실현하도록 돕는다. 내담자의 무의식을 탐색하고 이해하기 위해서 치료자는 꿈 분석, 전이 및 역전이 분석, 적극적 상상을 비롯한 다양한 기법을 사용할 수 있다.
1. 꿈 분석
분석적 심리치료에서 내담자의 무의식을 탐색하는 대표적인 기법은 꿈을 분석하여 해석하는 것이다. 우리 자신의 마음임에도 불구하고 우리에게 의식되지 않는 무의식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무의식이 스스로 자신을 드러내는 심리적 자료가 필요하다. 이러한 자료 중 가장 중요한 것이 바로 내담자의 꿈이다.
융과 프로이트는 무의식의 이해를 위해서 꿈을 중요시한다는 점에서는 동일하지만, 이들이 꿈 분석을 통해서 해석하는 꿈의 의미는 매우 다르다. 프로이트는 꿈 분석을 통해서 억압된 성욕과 무의식적 갈등을 발견하고자 한 반면, 융은 꿈을 통해서 마음 깊은 곳으로부터 들려오는 지혜로운 영혼의 음성이자 메시지를 발견하고자 했다. 융에게 있어서 꿈은 개인의 지극히 내면적인 정신세계를 보여주는 것으로서 상징과 심상을 통해서 무의식의 상태와 변화를 보여준다. 꿈은 기본적으로 의식의 일방적 태도를 보상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양극적 태도의 균형과 조화를 촉구한다. 아울러 꿈은 개인이 지닌 내적 또는 외적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암시하는 예시적인 기능을 지닌다.
꿈은 하나의 연극과 같은 구조를 지닌다. 서막이 있고 문제 상황이 기술되며 절정을 이룬 후에 결말을 맺는 것으로 구성된다. 꿈에 등장하는 인물들은 한쪽으로 치우쳐 있는 성격요소의 특성을 반영하는 것일 수 있다. 객관적 수준에서 보면 꿈속의 형상들은 부모, 배우자, 자녀와 같은 실제 인물이나 가까운 사람을 나타내지만, 주관적 수준에서 보면 그러한 형상들은 꿈꾸는 사람의 성격적 요소를 상징적으로 표상하고 있는 것이다. 꿈속에 등장하는 인물이나 형상의 위치, 행동, 감정은 물론 줄거리를 이루는 사건의 순서와 결말에도 중요한 의미가 있다.
꿈의 의미를 발견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기 때문에 일련의 꿈들을 묶어 해석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내용이나 주제가 반복되는 꿈들은 개인에게 중요한 의미를 지니는 원형의 발현으로 해석될 수 있다. 연상을 통해서 마음의 깊은 곳으로 들어가게 되면 종교, 전설, 신화 등에서 반복된 것과 유사한 원형적 주제를 발견할 수 있다. 어린 시절의 꿈이나 악몽과 같이 격렬한 감정이 개입된 꿈은 개인의 삶에 있어서 중요한 요인과 관련되 무이식이 표현된 것일 수 있다. 꿈은 내담자의 콤플렉스를 이해하고 해소하는 데 필요한 지식을 얻는 통로가 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담자의 진정한 본성에 접촉하는 방법이 될 수 있다.
2. 전이와 역전이 분석
전이와 역전이 분석은 융의 분석적 심리치료에서 무의식을 이해하는 중요한 기법이다. 융에 따르면, 타인과 연결되어 있지 않은 사람은 온전하기 어려우며 영혼은 언제나 '너'라는 존재 안에서 발견된다. 전이와 역전이는 자신의 무의식을 상대방에게 투사하여 내보이는 것이다. 전이와 역전이 속에서 내담자와 치료자의 개인 무의식뿐만 아니라 집단 무의식으로부터 온 원형적 주제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치료자와 내담자 두 사람의 대화는 사실상 네 사람 간의 대화라고 할 수 있다. 즉, 치료자와 그의 아니마(또는 아니무스) 그리고 내담자와 그의 아니마(또는 아니무스)의 대화인 셈이다. 치료자와 내담자의 상호작용 속에서 이러한 원형적 요소들이 어떻게 나타나서 어떤 메시지를 전달하는지를 탐색하는 것이 중요하다.
전이는 내담자의 내면적 상황, 기대, 콤플렉스, 공상과 감정을 보여주며 과거와 현재를 이어주는 다리 역할을 한다. 일반적으로 내담자의 통합되지 못한 부분이나 억압된 부분이 치료자에게 투사된다. 전이는 내담자가 경험한 무의식적인 주요사건을 재현하는 것으로서 과거나 현재의 문제들을 탐색하는 단서가 될 수 있다. 전이를 분석하는 과정에서 어떤 원형이 내담자에게 영향을 미쳤는지를 이해하게 되는 동시에 그와 관련된 꿈이나 환상으로부터 해결책의 암시를 얻을 수 있다. 투사는 내담자가 그 의미를 이해하고 해결할 때까지 계속되는 경향이 있다.
치료자 역시 내담자에게 역전이를 나타낼 수 있다. 치료자는 치료적 상호작용에서 나타나는 자신의 투사와 내담자의 투사를 분별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치료자는 강도 높은 분석을 통해서 자신의 콤플렉스와 심리적 요소 깊이 있게 자각하고 있어야 한다. 역전이는 내담자에 대한 치료자의 반응을 반영하며 매우 유용한 정보를 담고 있다. 역전이 속에는 치료자와 무의식을 자극하는 내담자의 심리적 속성과 무의식적 내용이 반영되어 있기 때문이다.
3. 적극적 상상
적극적 상상(active imagination)은 새로운 무의식적 주제들이 의식으로 떠오르도록 자극하는 다양한 방법을 의미한다. 이 방법은 융의 자기분석에 근하여 개발된 기법이다. 적극적 상상을 위해서는 내면적인 심상이 활성화될 수 있도록 마음에 강하게 집중하는 것이 필요하다. 내담자는 이러한 집중과정을 통해서 자신의 내면적인 심상을 지켜보고 어떠한 변화가 관찰될 때까지 지속적으로 마음의 초점을 그 심상으로 되돌린다. 마침내 어떤 움직임이 일어나면 그러한 마음속의 장면으로 들어가 자연스럽게 그 일부가 되도록 한다.
그러한 심상의 움직임이 멈추면, 내담자는 그러한 이야기를 글로 쓰거나 그림으로 그리거나 춤으로 나타내기도 한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는 것은 결코 쉽지 않다. 무의식의 비합리적이고 비논리적인 활동에 자아의 의식이 휩쓸리지 않고 그 움직임을 관조하며 반응하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러한 기법은 무의식에 휩쓸리지 않을 만큼 자아기능이 강하거나성숙되어 있는 내담자에게만 적용할 수 있다.
분석적 심리치료에서는 무의식적 과정을 의식화하기 위해 다양한 창조적 기법들을 사용한다. 융은 자기분석을 하는 동안 꿈과 환상 속의 이미지를 그림으로 표현했으며 그림 그리기를 비롯하여 조각이나 놀이와 같은 활동이 치료적임을 인식했다. 분석적 심리치료에서는 미술치료의 기법들을 활용하는데, 내담자는 그림 그리기를 통해서 억압되어 있던 감정과 심상을 의식적으로 표출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내담자는 자신의 무의식을 의식화할 뿐만 아니라 무의식과 능동적인 대화를 나눌 수 있게 된다. 이 밖에도 분석적 심리치료에서는 모래상자 놀이, 만다라 그리기, 춤추기, 운동하기, 시 쓰기, 빈의자 기법 등과 같은 다양한 기법을 사용한다.
'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실존적 심리치료의 다섯 가지 기본가정 (0) | 2024.04.09 |
---|---|
번아웃 증후군의 증상, 원인 및 회복 전략 (0) | 2024.04.08 |
폐경기 여성의 호르몬 변화에 따른 감정적 변화 (0) | 2024.04.08 |
우울증의 인구 통계학 및 성격 요인 : 연령, 성별 및 성격 특성 (0) | 2024.04.03 |
영화 "포레스트 검프"에 나타난 주인공의 심리 : 회복력, 연민, 운명 (0) | 2024.03.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