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은자신의 불안과 불쾌한 감정을 줄이기 위하여 무의식적으로 방어기제를 사용한다. 정신분석에서 방어이론은 프로이트의 딸인 안나(Anna)에게서 보다 정립되고 발전되었다. 모든 사람은 정도의 차이가 있으나 불안을 가지고 살아간다. 불안은 위험하거나 위협이 되는 고통스러운 정서적 경험을 말하는 데 개인은 불안을 방어하고자 나름대로 방어기제를 사용한다. 이러한 방어기제는 무의식적으로 작동되며 현실의 부정 혹은 왜곡과 관련된다는 공통점이 있다. 대부분의 사람은 한 개 이상의 방어기제를 사용하는데, 방어는 억압적 범주와 퇴행적 범주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억압적 방어에는 주지화, 합리화, 최소화, 전치, 반동 형성 등이 있다. 부인과 투사 등은 퇴행적 방어기제다.
환장의 증상은 특정한 방어기제와 관련된다. 망상증 환자는 투사의 방어기제를 주로 사용하고 알코올 중독자나 도박 중독자 등 중독자는 부정의 방어기제를 많이 사용하고 있다. 성숙한 성격을 가진 승화, 이타주의, 유머 등의 방어기제를 주로 사용한다. 내담자가 주로 어떤 방어기제를 사용하는지를 알아보는 것은 내담자의 증상과 심리적 특성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
1. 억압
억압(Repression)은 대부분의 사람이 주로 사용되는 기본적인 방어기제다. 억압은 자신에게 용납되지 않는 욕구나 자존심을 상하게 하는 생각에서 오는 불안을 피하기 위해서 의식화하지 않고 눌러두는 것이다. 심리적으로 일어나는 기억상실은 전형적인 억압의 예로 볼 수 있다. 불안을 야기하는 내용을 억압하면 이것이 꿈이나 병적 증상으로 나타날 수 있다. 꿈에서는 자아의 검열기능이 약화되어 자신이 받아들이기 불편한 성적 내용이나 공격적 내용 등이 나타난다. 억압은 원치 않는 충동이나 그 충동의 파생물인 기억, 정서, 욕망, 소망 충족의 공상들을 의식으로부터 제외하는 자아의 황동으로 구성된다.
2. 합리화
합리화(Rationalization)는 자기 보호와 체면 유지를 위해 흔하게 사용하는 방어기제다. 개인은 자신이 가지고 있지만 사회적으로 용납될 수 없는 충동이나 행동 그리고 실패와 같이 자존심을 상하는 상황에서 사회적으로 그럴듯한 이유와 핑계를 대어 정당화시으로써 불안을 회피한다. 시험을 잘못 친 학생이 "교수가 시험문제를 잘못 내었다."라고 합리화한다.
3. 부정
부정(Denial)은 현실적으로 존재하는 불안하거나 위협적인 사실을 받아들이지 않고 거부하거나 인식하지 않는 것이다. 알코올 중독자가 자신은 중독자가 아니고 얼마든지 술을 조절할 수 있다고 말하는 것을 예로 들 수 있다. 개인은 이와 같이 현실을 부정함으로써 불안이 줄어든다.
4. 투사
투사(Projection)는 실제로는 자기 내부에 있지만 용납할 수 없는 충동이나 감정이기에 다른 사람이 가지고 있다고 돌리는 것이다. 개인은 투사를 함으로써 자존심을 유지하려고 한다. 어떤 사람이 다른 사람에게 적개심을 가지고 있지만 스스로는 인정하기 어렵기에 그 사람이 오히려 자신에게 적개심을 가지고 있다고 믿는 것이다. 투사는 특정한 상황에서 자신이 싫어하는 사람을 대상으로 일어나는 경우가 많다. 실패를 남의 탓으로 돌리는 것도 투사라고 할 수 있으며, 투사된 내용은 투사하는 사람의 무의식에서 불안을 주는 충동이나 욕구들이다. 이것이 사고의 형태로 투사되면 망상이 되고 지각의 형태로 투사되면 환각이 된다.
5. 퇴행
퇴행(Regression)은 위협적인 현실에 직면하면 덜 불안하였던 이전의 발달 단계로부터 도피함으로써 불안과 책임감으로부터 회피하는 것이다. '아우 타기'와 같이 대소변을 잘 가리던 아동이 동생이 태어나면서 대소변을 가리지 못하는 것을 퇴행이라 본다. 또 성인이 심한 스트레스를 받으면 초기의 미숙한 행동을 보이는 것도 일종의 퇴행이다.
6. 동일시
동일시(Identification)는 타인이나 어떤 집단의 특성을 취하여 자신의 것으로 만들어 불안을 줄이는 것이다. 아이가 아버지의 구두를 신으면서 마치 자신이 아버지처럼 힘을 가진 것으로 느끼는 경우를 예로 들 수 있다.
7. 반동형성
반동형성(Reaction Formation)은 자신에게 있지만 받아들이기 어려운 충동적 생각을 억압하고 그와 정반대되는 것을 표현하거나 암시하는 것이다. "미운 아이에게 떡 하나 더 준다."는 말과 같이 진정한 자신의 마음과 반대되는 행동을 함으로써 불안을 줄이려 한다.
8. 보상
자신의 외모, 지능 등의 부족한 부분을 보충하려는 무의식적인 시도가 보상(Compensation)이다. "작은 고추가 맵다."는 속담에서 , 자기 결함을 보상하려는 심리를 말한다.
9. 승화
자기 내면에 있는 성적 및 공격적인 욕구를 사회적으로 수용될 수 있는 행동이나 방법으로 변화시키는 것이 승화(Sublimation)다. 공격적 욕구를 운동으로, 성적 욕구를 예술활동으로 표현하는 경우다. 예를 들어, 어떤 수도자가 자신의 공격적 욕구를 검도 운동으로써 승화시키는 것 등이다.
'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집단상담 리더가 집단상담 중에 해야 할 일 (0) | 2024.04.09 |
---|---|
수용전념치료의 핵심 과정 (0) | 2024.04.09 |
게슈탈트 상담의 네 가지 목표 (0) | 2024.04.09 |
실존적 심리치료의 다섯 가지 기본가정 (0) | 2024.04.09 |
번아웃 증후군의 증상, 원인 및 회복 전략 (0) | 2024.04.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