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심리학

행동치료 과정

by 행복한 하루하루엔 2024. 4. 9.
반응형

1. 내담자 문제의 탐색

   치료자는 내담자가 호소하는 부적응 문제나 문제 행동을 탐색한다. 내담자가 여러 가지 문제를 호소할 경우에 어떤 문제가 내담자의 무적응에 중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는지를 파악한다. 즉, 치료자는 어떤 문제가 내담자의 삶에 가장 심각한 영향을 미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다른 문제행동들을 파생시키고 있는지를 탐색한다. 이러한 탐색이 이루어지면 치료자는 가장 먼저 치료할 필요가 있는 문제를 내담자와 함께 상의하여 결정하게 된다. 문제를 탐색하는 과정에서는 호의적이고 공감적인 태도로 내담자와 신뢰로운 관계를 맺는 것이 중요하다.

 

2. 문제행동의 평가와 분석

  가장 먼저 치료해야 할 표적행동이 정해지면, 이러한 행동의 빈도와 지속기간에 초점을 맞추어 문제행동을 평가한다. 내담자의 자기보고에 근거한 면접, 행동관찰, 설문지 등을 통해서 표적행동의 특성을 정밀하게 평가한다. 아울러 표적행동의 발달과정과 이러한 행동을 유지하고 강화하는 환경적 요인들을 파악한다. 즉, 문제행동을 촉발하는 선행사건이나 상황적 요인, 문제행동을 하는 이유, 문제행동을 유지시키는 환경적 요인과 인적 요인 그리고 문제행동으로 인한 결과 등을 분석한다. 치료자는 이러한 정보에 근거하여 내담자의 문제행동을 유발하는 요인들에 대한 가설을 세운다. 이처럼 내담자의 문제행동을 구체화하는 과정을 기능분석(functional analysis) 또는 행동분석(behavior analysis)이라고 한다.

 

3. 목표 설정

  문제행동에 대한 분석이 이루어지면, 치료자는 내담자와 함께 구체적인 치료목표를 설정한다. 치료목표는 명확하고 구체적이며 측정가능한 형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폭식행동을  1회 이내로 줄이거나 인터넷게임을 매일 30분 이내로 줄이는 것과 같이 문제행동의 빈도나 지속기간을 일정한 수준까지 감소시키는 것으로 치료목표를 구체화한다. 또는 매일 제시간에 출근하기, 게임하기 전에 숙제 먼저 하기, 계획표에 따라 일주일 동안 생활하기 등과 같이 바람직한 적응행동을 실천하는 방식으로 목표를 세울 수 있다.

 

4. 치료계획 수립 및 실행

  치료목표가 정해지면, 치료자는 내담자의 행동변화를 위한 치료계획을 수립한다. 문제행동의 특성에 따라 가장 적절한 치료기법을 선택하고 이를 실행할 구체적인 절차를 정한다. 예컨대, 손 씻기와 같은 강박행동을 치료하기 위해서 노출 및 반응방지법을 사용하거나 발표공포를 치료하기 위해서 체계적 둔감법을 적용할 수 있다. 특정한 사회적 기술을 습득하기 위해서 모델링과 리허설을 통한 행동강화법을 사용하거나 규칙적인 생활을 위해서 생활계획 세우기를 활용할 수 있다.

  치료계획이 세워지면, 내담자와의 협의하에 치료계힉을 실행에 옮긴다. 행동치료의 경우, 내담자의 적극적인 참여와 협조가 필수적이다. 따라서 필요한 경우에는 치료획과 원리를 설명하여 이해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5. 치료효과의 평가

  행동치료에서는 치료가 진행되는 동안 표적행동의 개선 정도를 지속적으로 평가한다. 긍정적인 평가결과가 나오면 치료계획에 따라 치료를 지속하면서 성공적인 측면을 강화한다. 부정적인 결과가 나올 경우에는 치료계획을 점검하고 수정한다. 행동치료의 장점 중 하나는 행동평가를 통해서 치료의 진전 정도나 효과를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는 점이다. 구체적으로 설정된 치료목표가 행동평가를 통해서 달성되었을 때 치료가 성공적으로 이루어졌다고 할 수 있다.

 

6. 재발방지 계획수립

  치료목표가 달성되면, 재발방지 계획을 수립하며 치료의 종결을 준비한다. 문제행동이 일정 수준까지 감소되었다 하더라도 치료종결 이후에 재발할 수 있다. 따라서 재발방지를 위한 지침을 마련하여 내담자가 스스로 치료효과를 잘 유지하도록 교육한다. 치료의 종결 이후에는 일정한 시간간격으로 추수회기(follow-up session)를 갖는 것이 일반적이다. 추수회기를 통해 치료효과의 지속여부를 확인하거나 필요한 경우에는 추가적인 치료적 개입을 할 수 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