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심리학

이야기 치료의 목표와 기법

by 행복한 하루하루엔 2024. 4. 9.

이야기 치료의 목표와 기법

이야기 치료자는 내담자의 파괴적인 문화적 가설에서 그들을 분리시켜 그들 스스로에 대해서 새롭고 더 건설적인 관점을 갖도록 돕는다. 이것은 가족 구성원이 그들의 갈등을 직면하거나 그것에 솔직해짐으로써 성취하는 것이 아니라 사람을 문제와 분리한 다음 공동의 적과 싸우기 위해 가족을 연합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이러한 변화는 가족의 역사를 살펴서 빛나는 사건(unique outcome: 가족이 문제에 저항하거나 문제 이야기와 반대되는 방식으로 행동했던 때)을 찾음으로써 이루어진다. 내담자의 정체성을 약점이 있는 것에서 영웅적인 것으로 바꾸도록 하는 것이다.

  이야기 치료는 사람들을 억압적인 문화적 압력으로부터 해방시키고 그들에게 능력을 부여하여 자신의 삶에 책임을 지는 적극적인 주체가 되도록 하는 젗이적인 개입이라고 볼 수 있다. 일단 문제로 가득한 이야기에서 해방되면, 가족 구성원들은 더 많은 힘, 긍정성, 인내를 가지고 자신들의 문제를 다루기 위해 서로 협력하거나 지지적인 공동체와 연합할 수 있다.

  이야기 치료는 비생산적인 이야기를 해체하고 새롭고 보다 생산적인 이야기로 재구성하도록 돕는다. 즉, 자신의 이야기를 다시 쓰도록 내담자를 돕는다. 해체(reconstruction)는 내담자의 부정적 이야기에 의문을 제기하고 도전하는 것을 말한다. 이를 위해서 사람으로부터 문제를 외재화시켜 사람이 문제가 아니라 상황이 문제라고 바라보도록 돕는다.

  이야기 치료자는 치료과정에서 다음과 같은 노력을 기울인다. (1) 내담자의 이야기에 강한 관심을 갖는다. (2) 내담자의 역사에서 그가 강했거나 자원이 풍부했을 때를 탐색한다. (3) 제시되는 어떤 새로운 이야기에도 강제적이지 않고 존중하는 태도로 질문을 사용한다. (4) 사람들에게 진단명을 붙이거나 평가하지 않으며 그 대신 유일무이한 개인적 역사를 가진 인간으로 대우한다. (5) 대안적인 삶의 이야기를 위한 공간을 열기 위해서 그들이 내면화한 부정적인 문화적 이야기로부터 그들을 돕는다.

  이야기 치료의 개입은 대부분 질문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다음과 같은 기법을 사용하지만, 어떤 것을 주장하거나 해석을 내리지는 않는다.

 

1. 외재화하기

  이야기 치료의 가장 강력한 두 요소는 이야기 은유 자체와 문제를 외재화하는 기법이다. 사람이 문제가 아니라는 점을 강조한다. 치료자는 내담자에게 문제로 가득한 그들의 이야기를 하도록 요청한다. 이야기를 들으면서 가족이 겪어오고 있는 고충을 인정한다는 느낌을 전달하기에 충분할 만큼 오래 경청한다. 그 후에 치료자는 "사람과 문제 중에서 어떤 것에 더 큰 책임이 있나요?" 하는 '상대적인 영향력 질문'을 던진다. 치료자는 여러 회기에 걸쳐 문제가 어떻게 가족들을 분열시키고 지배해왔는지, 또 이에 대해서 그들이 얼마나 문제를 통제할 수 있었는지에 대한 전체그림을 그리는 많은 질문을 한다.

 

2. 문제 이야기의 행간 읽기

  치료자는 내담자의 이야기를 경청하면서 문제의 부정적 영향을 회피할 수 있었던 빛나는 사건들을 강조하며 그것이 어떻게 이루어졌는지 상술할 것을 요청한다. 이처럼 문제에 관한 이야기 행간에 숨겨진 긍정적 사건들을 발굴하여 강조함으로써 치료자는 내담자로 하여금 자신의 능력을 재평가하고 초점을 미래로 옮겨 과거·현재·미래의 완전한 이야기를 만들어가도록 돕는다.

 

3. 전체이야기 다시 쓰기

  내담자가 지닌 능력과 성취경험에 대해서 수집한 증거들(문제와 관련된)은 전반적으로 그가 어떤 사람인가에 대한 새로운 이야기를 구성하는 출발점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치료자는 과거 또는 현재에 이룬 고난 극복과 성취가 내담자에게 무엇을 의미하는지 이야기해보도록 요청한다. 내담자의 새로운 '자기 이야기'가 구체화되기 시작하면, 내담자나 가족에게 나타날 변화를 그려보게 함으로써 이야기의 초점을 미래로 옮긴다.

 

4. 새로운 이야기 강화하기

  새로운 이야기는  이야기를 만들어냈던 동일한 사건이나 맥락에서 진전되지 못하거나 손상되기쉽다. 치료자는 내담자들이 자신의 새로운 이야기를 지지하고 경청하는 청중을 확보하도록 돕는다. 또한 그들의 새로운 이야기를 지지하는 증인의 역할을 할 수 있는 사람들을 발견하도록 격려한다. 예컨대, 반(反)섭식장애에 동맹집단은 미디어에 편지쓰기를 통해서 다이어트와 날씬한 몸매를 강조하는 사회문화적 신념에 저항하며 서로의 이야기를 지지한다.

 

5. 파괴적인 문화적 가설 해체하기

  이야기 치료자는 내담자로 하여금 자신의 문제를 부정적으로 구성하게 만드는 파괴적인 문화적 가설에 저항하고 그것을 해체하도록 격려한다. 여성의 유일한 가치가 외모라고 믿는 것은 파괴적인 문화적 가설의 예이다. 이와 같이 사회문화적으로 억압적 기능을 하는 남성적 이미지와 여성적 이미지를 부정하고 해체하도록 돕는다.그런 후에 치료자는 내담자가 사회적 압력에도 불구하고 그러한 파괴적 가설에 저항했던 일들을 기억하고 그러한 노력의 소중함을 인식하도록 지원한다.

  이 밖에도 비관적인 삶의 이야기를 파괴하기, 내담자의 능력과 선한 마음에 지속적으로 확신주기 등을 통해서 이야기 치료자는 내담자들이 자신의 긍정적 변화를 위한 효과적인 처방책을 다양하게 만들어 내도록 돕는다.

'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심리치료 통합운동 네 가지 유형  (0) 2024.04.09
심리치료의 공통요인  (0) 2024.04.09
실존적 심리치료의 개요  (0) 2024.04.09
인간중심치료의 진행과정  (0) 2024.04.09
아들러 심리치료의 네 단계 과정  (0) 2024.04.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