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심리학

인지행동치료의 인지적 기법 및 행동적 기법

by 행복한 하루하루엔 2024. 4. 10.
반응형

인지행동치료 상담기법

 

  인지치료 상담은 인지적 왜곡을 긍정적인 감정·행동·사고로 전환하기 위해 내담자의 경험을 왜곡시키는 역기능적 도식을 확인하고 이를 변화시키기 위한 교육을 전개하는 등의 구체적인 학습경험(Beck, Rush, et al.,1979), 내담자의 인지, 감정, 행동 등을 주의 깊게 관찰하고 기록하며 측정하는 다양한 평가 방법 및 광범위한 전략과 개입들로 구성되어 있다. 상담 기법으로는 인지적·정서적·행동적 기법이 있으며 특히 인지적 기법은 자동적 사고와 인지적 도식의 변화를 위한 방법으로 사용되고 있다.

 

1. 인지적 기법

  • 탈파국화 : 탈파국화는 말 그대로 파국화에서 벗어나도록 돕는 기법이다. 내담자가 걱정하고 염려하여 사건을 지나치게 파국화시키는 경우 내담자가 두려워하는 일이 실제로 어느 정도 발생할 수 있을지를 생각하게 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내담자는 자시의 염력, 두려움, 불안 등이 지나치게 확대되어 있었다는 것을 깨닫도록 한다.
  • 재귀인 : 내담자들은 어떤 사건에 대하여 책임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상황이나 사건에 대한 책을 스스로에게 부여함으로써 죄책감과 우울감을 느낀다. 재귀인(reattribution)은 특히 내담자가 개인적으로 사건을 받아들이거나 자신 때문에 그 사건이 발생했다고 지각할 때 자동적 사고와 가정을 검증하여 내담자로 하여금 사건에 대한 책임과 원인을 공정하게 귀인하도록 돕는다.
  • 재정의(특이한 의미 이해하기) : 개인의 자동적 사고와 인지 도식에 따라 같은 말도 서로 다른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상담자들은 내담자가 어떤 단어를 어떤 의미로 사용하는지 추측하는 것만으로는 충분치 않다. 특히 우울증 내담자들의 경우 '속상한, 실패한, 우울한, 죽고 싶은'과 같은 모호한 단어를 사용하기 쉬운데, 이런 경우 내담자에게 자세히 질문함으로써 내담자나 상담자 모두 그 사고 과정을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 예를 들면 '아무도 나에게 관심이 없다.'라고 말하는 사람에게 '나는 다른 사람과 접촉하고 돌봄이 필요하다.'라고 문제를 재정의하도록 권한다. 문제를 재정의하는 것은 문제를 보다 구체적이고 개인적으로 만들고 내담자 자신의 관점에서 말할 수 있도록 돕는 과정이라 할 수 있다.
  • 탈중심화 : 탈중심화는 타인의 관심이 자신에게 집중되어 있다는 잘못된 신념으로 불안해하는 내담자를 상담하는 데 사용하는 기법으로서, 왜 타인이 자신을 응시하고 자신의 마음을 읽고 있다고 생각하는지에 대하여 검토를 한 후에 이러한 특정 신념을 검증하도록 행동적 실험 실시한다. 예를 들어, 수업시간에 발표하기를 꺼리던 한 학생은 다른 친구들이 자신만 끊임없이 쳐다보고 있으며, 그래서 자신이 불안하다고 생각했다. 이 내담자는 자신의 불편함에 초점을 두는 대신에 친구들을 관찰함으로써, 어떤 학생은 필기를 하고 있고, 어떤 학생은 교수를 바라보는 등 친구들이 내담자 외에 다른 데 관심이 있다고 결론을 내리게 된다.
  • 절대성에 도전하기 : 내담자들은 주로 '모든, 항상, 결코, 아무도'와 같이 극단적인 용어를 통해 자신의 고통을 표현하고 호소한다. 이러한 절대적 진술(absolute statement)에 대해 상담자는 질문을 통해 내담자가 보다 정확하고 구체적으로 표현할 수 있도록 돕는다.

 

2. 행동적 기법

  • 노출치료 : 불안을 경험하는 내담자가 사고와 심상, 심리적인 증상 및 긴장의 수준에 대한 자기보고 자료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극장에만 가면 가슴이 답답하고 어지러움을 호소하는 내담자가 있다면 직접 어려움을 호소하는 상황에 노출되어 보는 것이다. 이를 통해 상담자는 특정 사고와 심상에 대한 내담자의 왜곡을 조사할 수 있고, 특정 대처기술을 가르칠 수 있다. 또 내담자는 그들의 예견이 항상 정확하지 않다는 것을 배우게 되고, 미래의 불안한 사고에 도전할 수 있게 된다.
  • 사고중지 : 지속되는 해로운 생각들을 없애는 데 어려움을 경험하는 경우, 원치 않는 생각이 떠오를 때마다 "멈춰!"라고 크게 혹은 목소리를 거의 내지 않고 말하는 것, 더 나아가 그것을 보다 긍정적인 생각으로 대체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통해 왜곡된 생각이나 감정의 빈도와 강도가 점점 줄어들게 된다.
  • 행동적 시연과 역할연기 : 현실 생활에 적용되는 기술과 기법을 연습함으로써 개인이 자신에 대해 갖는 새로운 생각들을 현실화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객관적인 정보의 근원이 수행을 평가하는 데 이용될 수 있도록 역할연기는 종종 비디오로 녹화되기도 한다.

  이 외에도 가설검증, 자기대화, 일기, 편지쓰기, 인지적·내면적 모델링, 정서적·정신적 심상, 합리적·정서적 역할연기, 오래된 생각과 새로운 생각 사이의 대화 역할연기, 거리두기, 독서치료 등 다양한 기법이 활용되고 있다.

반응형

'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현실치료의 상담 기법  (0) 2024.04.10
교류분석 상담기법  (0) 2024.04.10
정신분석치료 상담 기법  (0) 2024.04.10
상담관계의 특징  (0) 2024.04.10
상담 이론과 과정에서 본 상담관계  (0) 2024.04.10